제사를 도입하는 것이 사당에서 신령을 불러들이거나 지역의 제사를 지내는 것이라면 이제부터 제사의 주요 절차가 시작된다.
예전에는 홀기(笏記)에 다음과 같은 내용을 적고 추석(祝)이라 불리는 집사나 찬자(贊者)가 부르는 동안 진행하는 것이 관례였다.
가까이에 두고 제사를 지내거나 익히면서 관찰하면 좋을 것 같습니다.
차례로 제사를 지내는 과정을 살펴보면, 1) 강신(降神) 2) 참신(參神) 3) 진찬(進饌) 4) 초헌(初獻)과 축독 5) 아헌(亞獻) 6) 종헌(終獻 7) 유식 8) 합문 9) 계문 10) 사신 11) 납주 또는 분축 12) 철찬 撤饌13) 음복(飮福) 등 1) 강신(降神) 강신은 인도하는 의례이다.
하늘과 땅에서 온 제물의 신 혼백. 주인은 신위전에 가서 향을 피우고 그 영혼을 하늘에 모시게 된다.
즉, 향기로운 향을 태워서 하늘에서 향을 연기로 태워 신을 정화하는 상징적 행위이다.
향로를 들고 세 번 태우고, 왼손으로 향로 뚜껑을 덮고, 오른손으로 향로 뚜껑을 덮는다.
에 따르면
사계종가, 우암종가 등 상징적인 장소에서 향을 피우는 가문도 있다.
하늘의 신을 따라 밥그릇에 술을 부어 땅의 신을 모시는 행사입니다.
즉, 뇌주는 땅에 향주를 붓고, 봉지를 땅에 모셔두어 기분을 좋게 하는 과정이다.
주인은 왼손으로 잔을 잡고 오른손으로 잔을 받아 서쪽에서 동쪽으로 세 부분으로 나눠서 모든 포도주를 마신다.
그래서 우리는 강한 수련을 합니다.
퇴계 종가나 서애 종가 등 영남지방에서는 향과 브레인 와인을 거쳐 재배한다.
이때 사용하는 강신반은 신상에 모시는 연회와는 다르며, 강신반은 제단에 올려서는 안 된다.
인사하는 것과 같습니다.
제사에 참여한 모든 사람은 지정된 장소(남자는 동쪽, 여자는 서쪽)에서 동시에 두 번 절을 했습니다.
노약자나 질병의 정도가 심한 분은 예식을 마친 후 다른 장소에서 휴식을 취하실 수 있습니다.
옛날에는 제사 때 행하는 절의 횟수가 남자의 경우 4번, 여자의 경우 4번이었다.
이는 남성과 여성을 차별하는 것이 아니라 음양의 원리에 따라 양의 수를 1로 하고 음의 수를 2로 간주하기 때문이다.
산 사람은 양의 도를 따르기 때문에 한 번만 절하고, 죽은 사람은 저울에 절합니다.
그는 살아 있기 때문에 음의 길에 따라 두 번 절을 한다.
그리고 여자들은 음(陰)에 속하기 때문에 절을 두 번 두 번 한다고 하더군요. 그러나 이러한 음양론은 여성계가 현대 남성우월주의의 전형이라고 주장하여 큰 공감을 얻지 못하고, 여성이 4배 절하는 것은 옳지 않기 때문에 논란이 되고 있다.
그러므로 남자와 마찬가지로 수련만 하면 된다.
제사에서 새로움을 먼저 할 것인가, 강한 신을 먼저 할 것인가는 예로부터 논란이 되어 왔으며 지금도 가문에 따라 일정하지 않다.
일반적으로 지역제사의 경우 신을 모멸시키는 강신례를 먼저 거행하고 이어서 참신례를 거행한다.
출처 : 평택시민신문(http://www.pttimes.com)